Tag: 현대사

영화 1987

영화 ‘1987’을 혼자 보고 나오는 길이다. 6월 항쟁을 사실에 기반하여 지나친 과장 없이 이야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자연스레 눈시울 붉어지고 여기 저기 흐느낌도 들려왔다.

영화 마지막에 엔딩 크레딧 올라가면서 ‘그날이 오면’이 흐른다. 과연 ‘그날’은 온 걸까… 연희가 ‘그런다고 그날 같은 건 오지 않아.’라고 냉소적으로 한 말에 대한 대답으로 이만큼의 ‘그날’은 온 것 같다. 비록 헬조선이라고 해도 말이다. 그래도 아마도 아직 오지 않은 ‘그날’을 다들 품고 있겠지.

아 나는 그 시절을 살아낼 수 있었을까. 빚진 마음을 갖고 살 수 밖에 없다.

우리가 당연하게 누리고 있는 것들이 거저 주어진 게 아니라는 걸 말하고 싶으나 사람 마음이란 게 그런 말을 달갑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 같다. 지금 영화를 보고 나와서 그런 거지 누가 내게 그런 말을 했다면 아마 ‘아 네네’라고 했겠지.

그래도 지금 빚진 마음 갖고 겸허한 마음으로 집에 간다.

폭격 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폭격: 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김태우

폭격-김태우

아마도 한국 전쟁 당시 미군에게 한국인은 공산당에 대한 잠재적인 조력자 정도로 보여졌던 것 같다. 현대의 인권 개념을 기대하기는 어려웠을 것이고, 그들에게 아시아인은 열등한 인간, 목숨 값이 덜 나가는 인간들로 여겨졌을 것이다. (이 책의 시작은 현대의 이라크 전쟁에서 아파치 헬기 (물론 미군의) 조종사들이 농담 따먹기 하면서 민간인을 학살하는 장면으로부터 시작한다. 하물며 60여년 전에는 이보다 더 나은 상황을 기대하긴 어려웠을 것이다.)

한국 전쟁은 1951년 6월까지 약 1년 가까운 공방 기간과, 그 이후 2년 간의 휴전 협상 기간으로 나눌 수 있다. 2년 간의 휴전 협상 기간 동안 남한의 후방 지역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상태였으나, 북한 지역은 전후방 할 것 없이 수시로 폭격을 견뎌 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2년 동안 토굴에서 지내면서, 주변 사람들이 죽어 나가는 모습을 지켜 봤다면 왜 그렇게 북한 사람들이 진심으로 미국을 증오하게 됐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저자는 한국전쟁은 그들의 전쟁이었다라고 주장한다. 한반도에서 벌어진 전쟁이고, 김일성이 도발한 전쟁이라는 것은 역사적 사실로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3년 동안이나 전쟁이 이어진 것은 강대국의 이해 관계 때문이었다고 한다. 김일성은 휴전 협상이 시작될 당시, 그러니까 전쟁 발발 후 1년이 되는 시점부터 휴전을 간절히 원했다고 한다. 미군의 폭격에 의한 피해가 견딜 수 없는 수준이라고 판단했고, 많은 것을 양보하더라도 휴전을 하고 싶어했다고 한다. 그러나, 중국과 소련의 반대로 휴전 협상은 2년동안이나 지속 되었고, 미 공군은 휴전이 타결 되는 날까지 북한 지역에 폭격을 계속했다. 결론적으로 한반도는 그들의 전쟁터가 되어, 3년 간의 고통을 감내해야 했던 것이다.

연일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공습하여 수백명의 사망자가 나오고 있는 현재, 60년 전 한국인에 대해 공감하는 만큼 현대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감정 이입이 된다. 폭탄 투하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과 지상에서 벌어지는 아비규환의 대비가 인간의 존엄성을 우습게 만들어 버린다. 이스라엘인들은 공습받는 가자 지구를 지켜 보며 말 그대로 ‘박수’를 보내고 있다. 모군의 말대로 악의 평범함인가? 잊지 않고 계속 되뇌이지 않으면 우리 안의 악마에게 지배 받는 것은 순식간이다.

사족…
‘Israel air strike’로 구글 검색해 보면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이 마치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인 듯 보여진다. 듣던대로 미국 언론은 유태인이 장악하고 있다는 것이 사실인 듯 하다.

Please, be more hu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