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상황에 몰려 극단적인 생각을 해본 사람이 얼마나 될까?
한 때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해본다고 짐작하고 있었는데, 주변의 몇몇과 나눈 대화를 보아서는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그렇지만, 실제로 자살을 감행하는 사람이 많으니, 그것을 생각해 본 사람의 수는 훨씬 많지 않을까?짐작만 해볼 뿐이다.
아마 도스토예프스키의 ‘악령’의 등장인물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논리적으로 생각해 봤을 때 자살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하던 인물이 있었다. 나는 그 인물의 심리를 이해할 수 있다. 그 인물은 나름의 논리로 자살하는 것인 ‘논리적’으로 맞다고 주장했지만, 꼭 논리적으로 그게 맞다는 것은 아니다.
소멸로 가는 길에 의미가 없다면, 소멸을 택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객관적인 시각에서 볼 때 극단적인 곤경이 자살의 필요 조건은 아니라는 것이다. 소멸로 가는 길에 쌓아 온 것들, 붙들고 있던 ‘의미’가 사라지게 되면 극단적 선택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란 말이다.
어떤 사람이 쌓아온 부가 하루 아침에 사라질 때, 남은 재산이 충분히 먹고 살만하다고 하더라도 그는 소멸을 택할 수도 있다. 부가 그의 의미였기 때문이다.
명성을 쌓은 사람은 어떠한가? 명예에 흠집을 참지 못하고 세상을 등지는 경우도 있다. 객관적으로 볼 때 훌륭한 인품을 지녔고, 명예에 난 흠집은 아주 사소한 것이라고 타인들이 인정해 준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견디지 못한 사람을 우리는 알고 있다.
나는 어떠한가? 나는 무엇을 잃었을 때 무너지게 될 것인가? 아마도 5년 전 내 북이 망가질 때, 회사에서 쌓아온 평판이 내게 굉장히 의미 있던 일이었던 것 같다. 그것이 무너질 때 극단적 생각을 한 것이다.
다행히도, 회사라는 조직이 그렇게 큰 의미가 없고, 호구의 책이었을 뿐이라는 것을 인정하게 되었고 견딜 수 있었다. 다만 그 다음에 찾아온 것은, 그렇다면 나는 소멸로 가는 길에 무엇을 쌓아 올려야 되는가, 무슨 의미를 만들어 내야 하는가라는 공허함이었다. 잠정적으로 내린 결론은 무엇을 쌓아 올릴 필요는 없다는 것이었다. 하루 하루를 충실하게 사는 것이 답이었다. Carpe diem. 이 말의 의미를 이제야 알게 된 듯 하다.
다시 위기가 닥친 지금, 멘탈이 무너지지 않을 자신은 있는가? 쉽지는 않을 것 같지만, 긍정적이다. 다만 일자리를 잃을까 걱정이지만, 육체 노동이라도 할 일이 있지 않겠는가… 다행히도 몇년은 더 버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니, 밀려낼 때까지 물러나지 않으며 준비하면 될 것이다.
이제는 주변을 잘 토닥여, 흔들림 없게 하고, 불필요하게 큰 고통을 겪는 사람이 없도록 해야겠다.
Tag: 에세이
나무야 나무야
신영복, 1996
역사를 배우기보다는 역사에서 배워야합니다.
무감어수(無鑑於水) 감어인(鑑於人)
평등은 단지 ‘차별의 철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평등이야말로 ‘자유의 최고치(最高値)’이기 때문입니다.
신영복 선생이 중앙일보에 연재하던 여행기를 1996년에 책으로 묶은 것이다.
선생 특유의 온화하면서도 날카로운 말투로 여행지에 얽혀 있는 사연과 의미를 풀어내고 있다.
그간의 선생의 저작에서 효율보다는 관계 발전보다는 인간을 강조하는 선생의 주장은 어떤 면에서는 한가해 보인다. 사회주의적인 색채를 보면 (비록 온화한 말투 속에 감추어져 있지만) 급진적이라고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사회주의/자본주의 패러다임 자체를 보고 구시대적이라고 평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진보, 보수의 패러다임을 떠난 성찰의 말씀들이다. 쉴새 없이 돌아가며 풍족한 가운데 불안하게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되돌아 보는 시간이다.
이미 돌아가신 지 벌써 2년이 넘었다.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무엇을 경계해야하는지…
선생의 글을 읽을 때마다 몽롱한 가운데 찬물로 낯을 씻는 기분이다.
게으름에 대한 찬양
게으름에 대한 찬양 – 버트런트 러셀
2014-04-23
에세이 모음이라 관통하는 주제를 찾기 어려운 듯도 보이나, 한 마디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인류의 풍요로운 삶에 대한 러셀의 고민이다.
러셀의 30년대 고민과 제안이 우리 세대에도 충분히 유효한 듯 하다. 그의 통찰에 경의를 표하는 한편, 적어도 한국 사회는 러셀 생존 시기보다 풍요로워진 것 같지 않아 안타깝고 세월호 참사와 맞물려 참담하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