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는 동생을 재우려고 품에 안고 살랑살랑 흔들고 계셨다. 동생은 갓난쟁이는 아니지만 아직 잠투정을 할 나이였으리라. 우리 형제는 두 살 터울이니 내 나이도 많이 봤자 다섯 살 정도였을 것이다.
그 날따라 동생의 잠투정이 심했었나 보다. 단칸방은 어두컴컴하고 14인치 브라운관 TV 불빛만 흔들거리고 있었다. TV 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어머니 혼자 레시바로 소리를 듣고 계셨기 때문이다. 시끄러운 소리에 아기가 잠에서 깰까 봐 그러셨을 테다.
나로서는 괴로운 일이었다. 껌껌한 방에서 할 수 잇는 것은 아무 것도 없고, 소리는 죽여 놓은 채 화면만 껌뻑거리는 TV를 보는 건 고통에 가까웠다. 그리고 어머니 혼자 소리를 듣고 계신다는 생각에 어린 마음에도 이건 옳지 않다, 불공평하다, 분하다라고 생각했었다.
그러고 보면, 돌아가신 어머니 생각을 할 때, 좋은 추억보다는 섭섭했던 기억만 떠오른다. 그렇다고 어머니가 나쁜 어머니였던 것은 절대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이다. 자식들을 위해 그 이상 헌신하실 수는 없다. 이상하게도 그런 어머니에 대해서 좋은 추억은 잘 떠오르지 않고 섭섭한 기억이 떠오른다는 게 죄스러운 일일 뿐이다.
심리학적으로 부정적 기억이 더 오래 각인 되도록 진화 되었다고 한다. 말은 된다. 안 좋은 기억을 오래 간직한 사람이 위험한 상황에 덜 노출 됐을 것도 같다.
그렇지만 서글픈 일이다. 애초에 인간은 살아 남기 위해 진화한 것이지 행복하도록 진화한 것은 아닌 모양이다.
Tag: 행복
간디가 말하는 행복 – 어쩌다 보니 일기
Happiness is when what you think, what you say, and what you do are in harmony.
행복은 네가 생각하는 것과 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이 조화로울 때이다.
Mohandas Karamchand Gandhi
오늘(2022/07/26) 아침 블룸버그 단말기에서 만난 격언이다.
간디는 무슨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일까? 도덕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일까? 그러니까, 거짓 없이 말하고 행동하라는 말을 한 것일까? 아니면 내면의 평화를 이야기를 한 것일까?
나는 내면의 평화를 말하고자 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는 대로 말하고, 말한 대로 행동한다면 적어도 내 안의 모순에 의한 갈등, 번민 등으로부터는 자유로울 수 있을 것 같다. 내 인생의 모토 중 하나인 ‘담백하게 살자’와 상통하는 말이다. 내가 아닌 나인 것처럼 보이기 위해서 꾸미고 부풀리는 일에서 인생은 복잡해지기 시작한다.
그러나 생각대로 말하고 행동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내 생각이 말할 수 있는 생각이어야 한다. 부끄러운 생각, 나쁜 생각 자체를 하지 않는 사람이어야 한다. 어려운 일이다. 생각과 말이 조화롭게 하는 것은 결국 내 가치관을 올바르게 세우라는 뜻으로 이해 된다.
말이 행동과 조화롭게 되는 것 또한 쉽지 않은 일이다.
사람은 게을러지기 십상이다. 게을러지는 것은 유전자에 박혀 있는 생존 전략이 아닌가 싶은 정도이다. 그러다 보면 생각나는 대로 행동하게 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즉, 내가 생각하는 대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내 머리 속의 동물의 뇌가 지시하는 대로 행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대로 된 부끄럽지 않은 가치관을 갖고 그대로 말하고 그대로 행동하려면, 깊이 읽고 생각하고, 취하지 않고 (그것이 술이든, 약이든, 허튼 사상이든) 찬 물에 세수한 듯 깨어 있는 채로 살아야 될 것이다. 그렇게 살고 싶다.
그렇게 살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으나, 사실 그러지 못할 것이라는 것은 알고 있으나, 읽고 생각하고 끄적이는 짓을 반복해서 생각나는 대로 살지는 않도록 하자.
우리 사람 되기는 힘들지만 괴물은 되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