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령 –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에 대해 끄적거리는 것은 서평을 쓰기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투박한 감수성을 갖고 있는 나 따위가 문학을 논한다는 것이 부끄러워, 서평 없이 패스하려고 했으나 그래도 무언가 흔적은 남기고 싶어 몇 자 적으려고 한다.
우선, 소설의 배경이 되는 1860년 언저리의 러시아는, 농노가 해방된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여전히 귀족들이 막대한 영지를 갖고 부와 권력과 누리는 사회였고 현대의 시각으로, 또는 서구의 시각으로 보면 매우 불평등한 사회였다.
그러한 반대 측면으로 러시아에서는 한편으로는 혁명적 사상, 아마도 사회주의적인 사상이 꿈틀 대기도 하였으며, 허무주의가 유행하기도 하였다. 소설에서 말하는 악령은 아마도 사람들 머리 속을 휘젓고 어찌 보면 부조리한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갖가지 저런 사상들을 의미하는 것인 듯하다. 실제로 5인조의 행동(스포일러이므로 무슨 행동인지는 말 안 하겠음.)은 당시 어떤 정치 조직에서 실제로 일어났던 일들로부터 모티브를 따 왔다고 한다. 사상, 이념, ~ism 들은 내가 지배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할 일이지 교조적으로 받아들인다면 그 또한 종교이고, 소설의 제목과 같은 ‘악령’일 뿐이다. 도선생께서 그런 의도로 작품을 썼는지는 모르겠으나…
소설의 문체는 굉장히 길고, 사람 이름도 길고, 등장 인물들의 말들도 많다. 스토리만으로 보면, 1, 2권에서는 다분히 인내심이 필요하고 몇번 왔던 길 되돌아가서 다시 읽어야만 했던 경우도 많았으나, 다 3권에서 이 모든 것을 보상해 주는 듯 하다. 도선생 특유의 허술한 플롯이라는 평들이 많이 있으나, 내가 눈치챌만큼의 허점을 보이지 않았고, 어차피 구란데 좀 앞뒤 안 맞으면 어떤가 싶기도 하다.
가장 인상 깊은 것은 등장 인물들의 개성이다. 이런 인물들을 만들어 내는 역량이 있었기에 도선생을 위대한 소설가로 부르는 것이다. 아버지 베르호벤스키의 허술한 허세가 귀엽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우습기도 하지만, 어쩌면 가장 현실적인 인물이 아닐까 생각도 해 본다. 내가 했던 찌질한 몇 가지 기억들, 잊혀지지 않는 에피소드들이 머리 속을 스쳐 지나간다. 스타브로긴은 객관적으로 하는 행동은 악마와도 같다. (원문에서는 삭제 되어 있었다던 마지막 장 찌혼의 암자에서는 꼭 읽어야 된다.) 그러나 악마가 아니라 악동이라는 느낌이 더 강하다. 아마도 전반적으로 희극적인 분위기의 소설이라서 그런 인상을 받았던 것 같은데, 그러한 프레임을 걷어 내고 나면 분명히 악마다. 또 ‘악의 진부함’인가. 그 외에도 뾰뚀르 스체파노비치, 끼릴로프, 바르바라 빼뜨로비나, 아아 그리고 가여운 리자 등 등장 인물 하나 하나를 만나는 것에서 기쁨을 느낄 수 있는 독서였다.
그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꼭 다시 읽어 보고 싶고, 도 선생의 다른 작품도 접해 보고 싶은 생각을 해본다.
읽을 책은 많고 인생은 너무 짧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