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럽지가 않아

장기하의 ‘부럽지가 않아’. 남 자랑하는 거 하나도 부러워할 것 없다는 매우 간단한 이야기이다. 후렴구는 이렇게 반복이 된다.

부러우니까 자랑을 하고 자랑을 하니까 부러워하고 부러우니까 자랑을 하고 자랑을 하니까 부러워하고

사실 이 간단한 가사는 두 가지 메세지를 전하고 있다.
첫 번째 메세지는 자명하다. 남 부러워하지 말라는 것이다. 사촌이 땅을 사서 배 아픈 것은 한민족을 넘어서 전체 인류가 공유하는, 말하자면 유전자에 적혀 있는 특성이다. 사촌이 땅을 샀다는 사건에 대한 무조건 반사인 것이다. 그렇지만, 그 무조건 반사를 (표정은 감추지 못하더라도) 입 밖으로 내는 순간 못난 놈이 된다는 것 또한 중등 교육 이상을 받은 자라면 체득하고 있는 지혜이다. 여기에서 한 발 나아가서 장기하는 스스로 배 아픔의 부질 없음을 깨닫고 아픈 상황과 아프지 않은 상황을 분별하게 되는 경지에 이르렀음을 주장하는 가사라고 해석해 본다.
둘째 메세지는 그냥 지나치기 쉬운 면이 있다. 분명히 후렴구는 ‘부러우니까 자랑을 하고…’로 시작을 한다. 자랑이 부러움의 원인이 아니라 부러움이 자랑의 원인이다. 즉, 무언가 부러운 것이 있으니까 자랑을 하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조금 더 살을 더 붙여서 해석을 해 보면, 자랑을 하는 자는 무언가 결핍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심리적으로 보상 받고자 자랑할 거리가 생기면 달려가서 나불댄다는 뜻이 된다. ‘자랑하는 자’들을 그렇게 매도할 합리적인 근거는 갖고 있지 않지만 서사적으로 말은 된다고 생각한다. (자랑하는 자들 중 이 글을 보시는 분께는, 몇 분이나 되실지 모르겠지만, 사죄한다.) 그러고 보니 주변에서 대놓고 자랑하는 자를 만나는 것은 쉽지 않은 것 같다. 은근히 자랑하는 자와 내 자랑거리를 알아주기를 바라는 자 정도는 흔하다. 그렇지만, 그들도 막상 추켜세워 주면 부끄러워 손사레를 쳐야만 사회생활의 지혜를 아는 자들이 대부분이다. 그리하여, 대놓고 자랑하는 자는 그 의도와는 달리 부러움을 사는 데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왜 인간은 부러워서 자랑하고, 자랑해서 부러워하는 악순환을 반복할 수 밖에 없는 것일까 의아하지만, ‘배 아픔’은 인간이라는 종(種)의 입장에서는 발전의 원동력까지는 아니더라도 촉매 정도는 될 수 있을 것이다. 한 때 유행하던 진화심리학적인 입장에서는 당연한 현상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종의 번영과 개체의 행복과는 그리 상관 없다는 것을 깨달은 지 오래다. (더 작은 단위, 그러니까 국가, 민족의 번영과 개체의 행복 사이의 상관 관계에 대한 부정은 터부처럼 생각된다는 사실은 이상한 일이다.) 그러니까 유전자가 지시하는 대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아무 의미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유전자의 압박이 모든 면에서 극복의 대상인 것은 아닌 것 같다. 유대감, 소속감, 측은지심 등도 진화심리학적으로는 유전자의 압박이다. 이런 감정들은 오히려 유전자가 아닌 두뇌로도 납득을 할 수가 있고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감사하게 써먹으면 될 일이다. 시기심도 마찬가지로 긍정적으로 승화 시키는 방법도 잇을 것 같은데, 그러기에는 그 감정이 너무나 격렬하고 반응 속도 또한 매우 빠르다. 어쨌든지 사촌이 땅을 사서 복통에 눈물이 날 때, 마음 한 구석 허전하여 누군가 명치에 자랑을 꽂아 넣고 싶어질 때, 말초신경에게 맡기지 말고 한숨 먼저 크게 한 번 쉬고 나서 생각해 볼 일이다.
내 경우는 그렇게 높은 경지에 오르지는 못해서 자랑하고 싶은 거 있으면 얼마든지 하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꼭 자랑하고 싶어 못참겠으면 해도 돼. 내가 잘 들어 줄게. 그렇지만 안 하는 게 너한테도 좋은 거야.

이 정도가 결론이려나.

정태춘의 사람들

올해(2019년) 4월 정태춘, 박은옥 데뷔 40주년 앨범이 나왔다.
내가 정태춘선생님(? 뭐라고 지칭해야할지 모르겠다. )을 처음 접한 건 대학에 와서였다. 그 전까지는 그가 어떤 가수인지 전혀 몰랐고 그의 노래를 들어본 적도 없었다. 그는 우리편에 서 있는 가수, 즉 민중가요를 부르는 가수 중 한 명이라고 생각했다. 우리편이라는 표현은 나의 당시 단순했던 의식 구조를 정확히 묘사한다.
당시 나는 학교 행사나 집회 현장에서 정태춘님을 직접 볼 기회가 자주 있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아주 운이 좋은 일이었다. 당신 스스로 말씀하시길 사전 검열 거부 투쟁을 통해 깨어났다고 하셨다. 그 전까지 말랑말랑한 포크송을 부르던 가수였으나, 사전 검열 문제를 생각하면서 깨어났다는 말씀이시다. 아이러니하게도 사전 검열 제도가 없었더라면 나는 정태춘을 아직도 알지 못했을 것 같다.

93년에 나온, ’92년 장마, 종로에서’ 앨범에 수록된 ‘사람들’이란 노래가 있다.

노래는 ‘문승현이는 쏘련으로 가고…’로 시작한다. 문승현은 노찾사에서 노래를 만들던 사람인데 당시 모스크바로 음악 공부를 하러 떠났다고 한다. 같이 노래운동하던 동지가 떠나간 아쉬움인지 ‘문승현이는 쏘련에 도착하고’로 노래 말미에 다시 한번 등장한다.
‘인사동 찻집 귀천에는 주인 천상병씨가 나와 있고..’라는데, 천상병 시인은 이 노래가 나온 93년에 타계하였다. 천상병 시인은 간첩단 조작 사건으로 고문을 호되게 당한 후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다고 한다.
그 와중에 민방위 훈련의 초빙 강사는 ‘아주 유익한 말씀도 해주시고 민방위 대원 아저씨들 낄낄’댄다. ‘백태웅이도 잡혀가고…’ 그 밖에 ‘철창 속의’ 사람들이 많은 반면, ‘잠실 야구장은 쾌청’하다. 가수는 ‘아 대한민국’에서와 같은 메세지를 던지고 있다. ‘우린 모두 행복하게 살고 있지 않나, 우린 모두 풍요롭게 살고 있지 않나.’라는 자조적인 읊조림이다.

https://youtu.be/7akFp9bW068
40주년 앨범에는 93년의 ‘사람들’과 같은 가락에 가사만 바뀐 ‘사람들2019’가 수록 되어 있다.
93년의 사람들에 비해서는 주변의 소소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많다. 손녀딸 유치원 오가는 모습은 귀엽고, 폐지 줍는 노인들 이야기는 서글프다. 칼가는 아저씨와 굴비 파는 아주머니, 편의점 알바 언니 모두들 피곤하고 블랙리스트는 잊혀지고 있다.

‘사람들’은 93년에도 그렇지만, 2019년에도 마찬가지, 거대 담론에 묻혀 버리기 쉬운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한 가슴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연대를 느낄 수 있어 뭉클한 노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