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의 향연 – 폴 크루그먼
2014-01-13
반성하고 연마하자.
제목으로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 라고 말한 것은 클린턴이 말한 의미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거시 경제에 대해서 기본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장을 본다며 했던 무의미한 행동들에 대한 반성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거시 경제가 정치가들에게 어떻게 받아 들여지는가에 대해 깊이 고민해 보지 않았다는 점에서 반성하는 것이 옳겠다.
좀 알고 얘기해라.
책의 핵심을 몇 줄로 줄일 수 있을 듯 하다. 레이건에서부터 클린턴에 이르기까지 각기 다른 사이비 경제학이 대중에게 잘 먹힐 단순한 논리를 들고 나와 정치에 활용 되고 정책을 좌지우지 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그러한 사이비 경제학에 기반한 경제 정책이 미국 경제에 치명타를 주지는 않았지만, 올바른 경제 정책을 펼치는 데 장애가 됐던 것은 분명하니, 좀 경제 좀 제대로 알고 경제를 얘기하라는 것 쯤 되겠다.
경쟁력?
비즈니스 프렌들리한 정부를 겪은 우리 입장에서는, 전략적 무역론자들에 대한 비판에 감정이입이 될 수 밖에 없다. 비유라는 것은 설득력 있지만 위험하다. 국가는 기업이 아니고, 무역은 에이매치가 아니다.
전략적 무역론자들이 보호 무역을 옹호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비판은 자연스럽게 자유 무역 쪽으로 손을 들게 될 수 밖에 없으나, 그렇게 전개 되는 이야기에 어쩐지 마음이 편하지 않다. 단순화된 사례에서 한 나라의 번영은 국가 간의 상대적인 경쟁력에 상관 없이 그 나라의 생산성에만 좌우된다고 했다. 이런 논리의 핵심은 비교 우위에 의한 무역을 통해 수입국의 복리는 증진될 것이다라는 것이데, 현실에서는 무역이 있을 때와 없을 때, 산업 간의 마찰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개인적으로 보면 일자리의 문제이기 때문에, 현실은 조금 더 미묘하다.
쓰레기 경제학
오히려 공급중시론이라는 경제학은 쓰레기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다.
QWERTY 경제학
인간은 모두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한다는 가정에서부터 경제학을 바라 보는 마음은 불편하다. 더구나 이러한 가정이 자유 방임 주의의 근거가 될 때에는 더욱 그러하다. QWERTY 경제학은 그런 의미에서 좀 더 알아 보고 싶은 주제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우연에 의해 형성된 조건이 이후 운명을 결정 짓는 경우가 있다는 정도일테다. 나비 효과를 연상하게도 하고, 행동 경제학을 연상하게도 하는 측면도 있고, 흥미를 갖고 읽어볼 만한 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