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개돼지

교육부 고위 공무원의 발언 때문에 시끌시끌하다.

잡생각 몇 가지 스쳐 간다.

먼저 ‘신분제를 공고화해야 된다’라는 발언에 대해서, 그 집단 내에서 그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궁금하다. 1%일까 10%일까, 혹은 대다수이지만 대 놓고 말하지는 못하는 걸까? 궁금하다.

두 번째로, ‘개돼지’ 발언 듣고 나서 느끼는 감정이 분노가 다는 아니다. ‘먹여만 주면 말 잘 듣는 존재’라는 의미로 개돼지라고 했는데, 먹고사니즘을 아주 과격하게 표현한 것 아닌가? 나는 분노와 더불어 약간의 부끄러움도 느꼈다. 몇 년 전 대선에서, 더러운 줄 알면서도 부자 만들어줄 줄 알고 누군가에게 투표했던 사람들도 부끄러웠을까?

The zero marginal cost society

The zero marginal cost society, Jeremy Rifkin.

51Oq2wLNFgL._SX323_BO1,204,203,200_

책은 읽는 사람마다 다른 의미일 것이다. 이 책은 누군가에게는 흔한 미래학의 한 부류가 될 수도 있다. 말하자면, 이 책을 미래 경제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성공을 위한 지식을 주는 책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내게는 제러미 리프킨이 ‘이제 좀 더 우리 인간답게 살 수 있게 됐다. 그 동안 애썼다.’ 라고 말하는 것만 같았다.

제러미 리프킨이 말하는 한계비용 제로의 의미는 결국에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붕괴를 말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혁신과 기술의 발전이 극에 달하여 한계 비용이 0에 가까워지면 기업들의 이윤 또한 0에 가까워지게 될 것이므로 현재와 같은 방식의 경제 시스템은 유지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얘기다. 그리고 자본주의 경제의 대안으로서 공유 경제 – 맞는 용어인지 모르겠다 -를 제안하고 있다.
저자에 따르면 경제 기반은 통신과 에너지 그리고 물류의 기반이 무엇인가에 따라 그 패러다임이 달라진다고 한다. 1,2차 산업 혁명은 석탄과 석유라는 에너지원과 철도와 고속도로라는 물류 기반 그리고 전화라는 통신 기반이 갖춰져서 가능했던 일이고, 이 세 가지 인프라는 상호 보완적으로 필요에 의해서 발전해 온 것이라고 한다.
현재는 20 세기를 지나오면서 2차 산업혁명은 성숙기를 지났으며, 지금은 3차 산업 혁명기라고 보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저자는 에너지, 물류, 통신 모두가 인터넷으로 진화해 가고 있다는 점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3차 산업 혁명의 특징이 바로 공유 경제라고 하고 20세기 자본주의적 패러다임과 대비시켜 보고 있다.
자본주의 경제와 공유 경제의 가장 극명한 특징은 집중과 분산이다. 화석 에너지와 원자력 대신 태양 에너지, 철도와 고속도로 대신 3D 프린팅 (이부분은 살짝 억지 같다), 그리고 통신은 당연히 인터넷. 이들의 특징은 모두 분산이라는 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경제 모델도 협동 조합, Prosumer 등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고, 오픈 소스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를 통한 혁신의 사례도 제시하고 있다. 이 외에도 자본주의 패러다임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우리에게, 이런 이런 일들도 가능하고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벌써 많은 움직임이 있다고 얘기해 주고 있다.

결국에 내가 느끼기에 핵심은 이렇다. 우리는 지금까지 부와 에너지를 집중해서 거대한 기업체를 만들어서 그 안에서 일사 분란하게 움직이고, 그 안에서 혁신을 거듭해서 살아 왔다. 그 결과, 한계 비용이 제로가 될 기반이 갖춰진 지금에 도달했다. 이 시점에 와서는 좀 더 민주적으로 자치적으로 그리고 물질 이외의 다른 가치를 추구하면서 살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더 민주적이고 자치적으로 살지 않고, 지금처럼 앞만 보고 달려서는 앞으로 잘 살기도 어려울 것이라는 점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지하기 어려워질 것이고, 더 중요한 것은 그 동안 착취해 왔던 지구가 못 버틸 것이다.
덧붙이면 정서적인 측면에서도 그러한 것 같다. 소득 20000불 넘어서면 그 다음부터는 소득 대비 행복감이 음의 상관 관계를 보인다고 한다. 굳이 과학적 근거를 대지 않더라도 그러할 것 같다. 더 벌지 않으면 불안하다. 그리고 불행해한다. 자치적인 경제 활동, 인간과 인간 사이의 공감, 창조적인 활동에서 갖는 행복감 등이 내가 생각만 조금 달리 하면 가능한 일들처럼 보인다.

너무 이상적으로 들릴 수도 있다. 저자도 expectation이라기보다는 hope에 가깝다고 인정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보다 어린 세대들은 분명히 다른 점이 있다고 하니 믿어 보고 싶다. 우리 나라의 경우는 조금 더 암울해 보이기는 하지만, 지금이 바닥이 아닐까 한다. ‘헬조선’이라고 현실 인식을 냉철하게들 하고 있으니 돌파구가 있지 않을까 싶다. 취직이 안 되는 건 앞으로 당연해질 것인데, 리프킨이 제시하는 미래 이미지에 따르면 대기업에 취직하는 게 좋은 생각이 아닐 수도 있다. 물질적으로는 이미 풍요의 시대이고, 굳이 갖지 않아도 될 것들을 너무 많이 갖고 싶어한다.

미래학자의 책을 읽고, 사는 태도에 대해서 고민하게 된다.

정말 두서 없이 썼는데, 시간 들여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회
Creative commons
ICA, 국제협동조합연맹

강의-나의 동양고전 독법

그간 전혀 안 읽은 건 아니지만 쓰지 않으니 남는 것이 없어, 한 글자라도 적어 보려고 한다.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lecture

‘강의’는 얼마 전에 타계하신 신영복 선생께서 성공회대에서 강의한 동양 고전 수업을 책으로 옮긴 것이다.
당장 먹고 살 일이 빠듯한 사람들에게 동양 고전을 얘기하는 것은 배부른 소리로 들릴 수도 있다. 터미네이터의 무대가 먼 미래가 아닌 것처럼 느껴지는 이 시점에, 수천년 전 세상을 들여다 보자니 한가해 보일 것이다. 방대한 내용을 책 한 권으로 다루려다 보니 극히 일부분의 내용만 다룰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어디 가서 고전 좀 아는 지성인이라고 뽐내기에는 턱 없이 부족한 내용이다. 그럼에도, 저자가 왜 동양 고전을 읽고 가르치고자 했는지 귀 기울여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책을 관통하는 키워드 하나를 꼽으라고 하면 ‘관계’ 또는 ‘관계론’이 될 것이다. 저자는 서양의 ‘존재’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현재 지구를 지배하고 있는 서양의 사고 방식의 근본은 존재론적 세계 인식이라고 보고 있다. 개인이든 사회든 국가든 스스로에게 실체성을 부여 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여야 하고 그 과정은 필연적으로 자기 증식을 위한 경쟁으로 귀결될 수 밖에 없는 것이 서양식 사고 방식의 기저라는 것이다. 지난 세기의 이데올로기 경쟁에서 자본주의는 승리하였고, 그 승리의 엔진은 자본의 자기 증식 욕구였다. 20세기를 지나 21세기를 지나오면서 자본주의는 세계화를 통해 20세기의 패러다임 유지해 가려고 하고 있다.(고 저자가 말했다. 나 잡아가지 말아 주세요.)
동양의 사고 방식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를 중요시 하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것이다. 스스로 존재를 강화하여 지배하려는 태도가 아니라 모순과 갈등을 인정하고 조화롭게 살아가고자 하는 태도가 동양의 ‘관계론’이며, 이 지점이 이 책을 관통하는 주제이다.
논어에 나오는 다음 구절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와 가장 근접해 있다고 생각한다.

子曰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선생님이 말씀하시길, 군자는 화(和)하고자 하지만 同하려고 하지 않고, 소인은 同하려고 하고 和하지 못한다.)

和한다고 하는 것이 조화롭고자 한다는 뜻이고 同한다는 것은 같고자 한다는 뜻인데, 같고자 한다는 것이 곧 지배하고자 한다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다름과 틀림을 구분하지 못하는 많이 이들에게 들려 주고 싶은 이야기다.

그렇다고 해서 가치 판단 없는 양비론적인 태도를 말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것도 역시 논어의 구절인데, 한번 새겨볼만 하다.

子貢問曰 鄕人皆好之 何如 子曰未可也
(자공이 물었다. 마을 사람들이 다 좋아하는 사람은 어떤가요? 선생님이 대답하셨다. 좋은 사람 아니다.)
鄕人皆惡之 何如 子曰 未可也
(마을 사람들이 다 싫어하는 사람은 어떤가요? 선생님이 대답하셨다. 좋은 사람 아니다.)
不如鄉人之善者好之 其不善者惡之
(착한 마을 사람이 좋아하고, 나쁜 마을 사람이 싫어하는 사람만 못하다.)

조화라는 것이 ‘좋은 게 좋은 거다.’라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내 의견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애매하게 중립을 지키는 것이 가장 좋은 태도라는 것을 몸으로 아는 것이다. 보신주의가 팽배한 세상에 다시 되새겨야할 말이다. 중립은 기회주의의 다른 말이다. 당파성 없이 모순을 피하려고만 하는 태도는 경계해야 되겠다. 그런데 사는 게 피곤해.
앞서도 말했듯이 바쁜 세상에 동양 고전을 읽는 것이 한가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너무 흔한 상투적인 구절이지만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라고 했다. 그러나 저자는 이 말을 반드시 진보적 의미로 읽어야 한다고 주의를 주고 있다. 옛 것을 읽히자는 것이 옛 것을 유지하자는 의미와는 전혀 다르다는 것이다. 옛 것을 시대와 상황에 따라 해석해야 하는 것이고 옛 것의 위에 비판적으로 창조하는 것이야 말로 스승의 할 바라고 한다.
최근에 ‘The zero marginal cost society’를 읽고 있는데, 놀랍게도 신영복 선생과 통하는 면이 많다. 근대를 지나오면서 자본주의 패러다임이 당연하다고 생각해 왔을테지만, 그것을 넘어서는 다른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것을 두 책이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는 바이다. 또한 두 사람 모두 옛 것에서 일종의 힌트를 얻고자 하고 있다.
얼마 전에 알파고가 관심을 끌면서 앞으로 살아 남게 될 직업군에 대한 이야기가 돌았었다. 기계가 생산성을 극단으로 끌어 올리고 대부분의 영역에서 인간의 능력을 벗어나게 될 시점에서, 인간의 경쟁력은 인간다움이 될 것이다. 그 중 가장 인간다움의 영역은 윤리와 철학의 영역이 아닐까 생각한다.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가치의 판단은 먼 미래까지도 인간의 영역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뭐 먹고 사느냐에 관심 갖고 자기 개발서 읽는 것보다 인간다움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이 먹고 사는 문제에서도 나을 것이다. 이 책에 대해서 또 먹고 사는 문제로 연결 시키는 것도 우습긴 하다.
각박하게 돌아가는 세상, 나를 비롯해서 많은 사람들이 먹고 사는 것을 핑계로 앞만 보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앞이 바로 한 치도 안 되는 코앞이라는 데에 있는 것 같다. 잠시 숨 돌려 옛 것을 익히고 먼 곳을 바라 보고, 인간 다움을 생각해 봤으면 한다.

아복기포 불찰노기

아주 예전에 어떤 선배가 해준 말인데 전혀 생소한 말임에도 잊혀지지 않는다.

我腹旣飽 不察奴飢

내 배가 부르면 종놈 굶주림은 살피지 않는다.

Paul Wilmott’s Blog: Now is the Perfect Time to Raise Interest Rates

Paul Wilmott's Blog: Now is the Perfect Time to Raise Interest Rates.

‘유가하락으로 디플레 우려’는 넌센스라는 윌못형님 말씀.

2014년 독서일기

늦었지만 2014년 독서 정리.

<사회,역사>
Quiet ★★☆☆☆
– Susan Cain
– 내가 이걸 원서로 읽었어. 젠장.

폭격 – 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
– 김태우
– 한국 전쟁에 대한 기록물.

이슬람 ★★★☆☆
– 이희수
– 이슬람에대한 서구 편향된 시각을 바로 잡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

역사란 무엇인가 ★★★★★
– E.H. Carr
– 이것은 아마 불온 서적이었다지?

Trauma and Recovery ★★★★☆
– Judith Herman
– 집단 트라우마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 문제를 모르고서는 해결할 수가 없잖은가?

대화 ★★★★☆
– 리영희
– 리영희 교수를 통해 읽는 한국 현대사.

근대를 말하다 ★★★☆☆
– 이덕일
– 학교에서 잘 안 가르쳐 줬던 한국 근대사. 쉽게 읽힘.

백성편에서 쓴 조선왕조 실록 상, 하 ★☆☆☆☆
– 백지원
– 쓰레기. 제목에 속았다. 내가 이걸 끝까지 읽다니.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
– 임승수
– 얘 NL이다.

<경영, 경제>
The origin of Wealth ★★★☆☆
– Eric D. Beinhocker
– 진화에 대한 개념 정리와 진화를 통해 경제학 및 경제 현상에 접근. 새로운 관점을 제시.

Thinking, Fast and Slow ★★★★★
– Daniel Kahnemen
– 행동 경제학의 창시자가 자신의 연구를 대중을 위해 집대성한 책. 이것은 고전이 될 것이다.

경제학의 향연 ★★★☆☆
– 폴 크루그먼
– 왜 경제 분야에 유독 잘난체 하는 전문가가 이리 많은 걸까? 크루그먼이 하나씩 까주신다.

<소설>
루쉰전집 ★★★★☆
– 루쉰
– 암울한 시대를 살았던 작가의 고민을 엿볼 수 있는 소설.

악령 ★★★★★
– 도스토예프스키
– 명작은 명작.

<인문>
게으름에 대한 찬양 ★★★★★
– 버틀란트 러셀
– 짧지만 묵직함.

The World until Yesterday ★★★☆☆
– Jared Diamond
– 흥미로운 인류학의 세계. 전작에 비해서는 완성도가 떨어진다.

루쉰 전집

격동기를 살아온 지식인의 고뇌가 그대로 드러나는 소설이다.
봉건제 억압 구도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중국인들에 대해 루쉰이 느끼는 안타까움과 절망이 묻어나고 있다. 나 또한 무언가에 사로잡혀 깨어나지 못하고 있는지도…

The origin of wealth

제목부터가 ‘The origin of species’로부터 빌려왔다. ‘부의 기원 The origin of wealth’는 진화론의 관점에서 경제를 해석하려는 시도를 한 책이다. 결론적으로 아주 독창적인 ‘originality’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훌륭한 책이다.

저자는 현재의 주류 경제학의 방법론을 물리학에서 빌려온 것이라고 말한다. 모델을 세우고, 적절한 가정을 하고 (예를 들면, ‘마찰이 없다면…’과 같은) 그것을 수학적으로 풀어내며 현실에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들은 물리학을 비롯한 자연과학의 방법론이다. 경제학자들은 이 방법론을 차용하여 경제 현상을 분석하려고 시도하였다. 대표적으로 ‘이기적이고, 완벽하게 이성적인 인간이라면…’으로 시작하는 가정을 세우고, 모델에 이 가정으로부터 예측된 인간의 행동을 반영하는 식이다.
그러나 경제학의 방법론은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자연과학에서 ‘마찰이 없다면…’이라는 가정은 그 모델이 설명하고자 하는 핵심을 설명하는 데 장애가 되지 않는 반면, 경제학에서의 가정은 모델의 본질을 훼손시킨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경제를 움직이는 주체인 인간에 대하여 가정이 너무 비현실적이고 과도하여 경제 현상에 대한 분석을 왜곡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은 이미 주류 경제학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행동경제학에서 비슷하게 다루고 있는 바이다.
분명 저자의 주장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나 역시도 이런 저자의 생각에 상당 부분 공감을 하는 바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너무 경제학자들을 폄훼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만큼 경제라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지, 그 동안의 경제학의 접근 방식 자체를 매도해 버리는 것은 너무하다는 생각이다.
물론 경제학자들이 그 이후의 자연과학의 발전을 따라오지 못했다는 점에는 이의가 없다. 자연 과학에서는 ‘평형’상태를 상정하고 방정식을 풀어 대는 것은 이미 오래 전의 일이고, 이후의 물리학은 혼돈 이론이라는 것을 발전시키고 있다. 반면, 경제학에서는 아직도 평형상태를 논하고 있으니, 18세기 물리학에서 방법론을 차용한 이후로 경제학은 머물러 있고 자연과학은 발전해 온 셈이다.
장황하게 얘기했으나, 어쨌든 책의 전반부는 현재 경제학의 분석 틀의 한계와 진화론의 개념을 적용한 ‘복잡계 경제학’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아울러 진화론의 개념에 대해서도 매우 흥미롭게 설명하고 있으니, 그만으로도 읽을만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책 후반에는 각 분야에서 복잡계 경제학의 개념이 의미하는 바와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다. 경제, 정치, 사회 전반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데, 약간은 무리하게 본인이 만든 틀에 우겨 넣으려는 시도도 보이고 있고 때로는 다소 학술적으로 진화 매커니즘에 대해서 정리해 두고 있다. 실은 상당히 방대한 분야를 다루고 있는 책이다.

그러나 관통하는 논지는 ‘Exploitation / Exploration’의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Exploitation이라는 것은 성공적인 진화의 상태 (비즈니스에서 보면 현재 잘 팔리는 비즈니스 모델)에 집중하는 것이다. Exploration이라는 것은 현재 상태에서 벗어나 다른 기회를 탐색하는 것이다. 자연 상태에서는 돌연변이로부터 비롯될 것이고,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대부분의 회사들마다 이름은 다르지만 존재하는 ‘신사업’ 부서들에서 인간에 의해 의도된 변화로부터 비롯된다. 자연상태에서 돌연변이 중 대부분은 살아 남지 못하는 것처럼, 신사업들 중 상당 수는 사장될 것이 분명하다. 다만, 살아 남는 비율은 자연 상태의 돌연변이보다는 훨씬 높을 것이다.
Exploitation과 Exploration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것이 책을 관통하는 아이디어이다. Exploitation에만 집중하는 생물체, 또는 회사들은 변화하는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가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환경은 변화한다는 것이다. 비즈니스 환경은 자연 환경보다 훨씬 더 빠르게 변화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Exploration에만 집중하다 보면 현재 사업에서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즉, 는 것이 책을 관통하는 아이디어이다.

우리 사회를 보면 해방 이후 현재까지도 ‘Exploitation’에 몰빵해서 살아 왔다. Exploration이 필요 없던 이유는 앞에 길이 뻔히 보였기 때문일 것이다. 불행한 것은 우리는 아직까지도 다양성을 인정하지 못하고 있다. 자연 도태되거나 의미 없는 세력이 될 게 뻔했던 분파를 없애기 위해서 정당을 없애 버린 것이다. 이것은 정당 자체의 해산이 옳으나, 그르냐의 개별 사안으로서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가 앞으로 다양성에 대해서 더 받아 들이기 힘들게 만들어 버렸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받아 들여야 할 것이다. 경제, 정치 모든 면에서 마찬 가지가 아닌가 싶다. 결국에는 굳어서 사회 전체가 도태 되어 버리고 말 것이다.

민주주의에는 두 가지 좋은 점이 있다. 하나는 다양한 의견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그 의견들을 비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 마지막 챕터에서 인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