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Out Of Memory” Does Not Refer to Physical Memory – Fabulous Adventures In Coding – Site Home – MSDN Blogs

“Out Of Memory” Does Not Refer to Physical Memory – Fabulous Adventures In Coding – Site Home – MSDN Blogs.

신영복 선생을 만나다.

나의 친구 C모 양의 소개로 신영복 선생의 강의를 들으러 갔다.

선생님은 생각보다 체구는 크지 않으셨으나 강인한 기(?) 같은 것인 느껴졌다. 눈빛은 청년처럼 맑았고 표정은 부드럽고 인자함이 느껴졌다. ‘외유내강’이 선생에 대한 나의 첫 인상을 가장 적절히 표현하는 말이다.

달변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재치 있고 간간히 유머도 섞여 가면서 말씀하시는 스타일이셨다. 무엇보다도 당신의 인생 경험 자체가 아주 극단적있고 드라마와 같았기 때문에 그 인생의 단 한 토막을 듣는 것도 사람을 몰입시키기에 충분했다.

아마도 어제 강의부터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발췌하여 읽기로 하셨나보다. 그 전에 ‘청구회추억’이라는 선생의 글을 동영상으로 편집한 영상부터 같이 보았다.

청구회 추억 동영상 보기

동영상을 보면, 한 청년과 어린이들 간의 따뜻한 우정에 웃음 짓게 되고, 그들을 갈라 놓는 한편으로는 희극적이기까지 한 폭력적 국가 권력에 분노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내가 의아하면서도 감동적으로 생각하는 부분은 애초에 선생께서는 왜 그 아이들과 친해지려는 마음을 가질 수 있었을까 하는 부분이다. 지금이라면 어땠을까… 나라면 어땠을까… 지금 우리 중 누가 지나가는 어린이들을 보고 친해지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그들과 소통할 수 있을까… 우리에게는 마음의 여유가 없는 걸까, 열정과 애정이 없는 걸까…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은 제목이 말해주는대로, 선생님의 20여년의 수감 생활 동안 사색의 결과물이다. 그 시절 감옥에서는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는 환경이 아니었고, 필기도구를 소지할 수도 없었다고 한다. 오직 한 달에 한번 편지를 교도관의 입회 하에서 쓸 수 있었는데, 이 편지를 이용해서 당신의 생각들을 정리하여 기록으로 남겼다고 한다. 사색을 공중에 날려 버리기 싫어서, 한 달 동안 생각을 머리 속으로 정리하고 다듬고 문장까지 깔끔하게 정리해서 편지 쓰는 날이 되면 머리 속에 있는 것들을 옮기기만 하면 됐다고 한다. 마치 쏟아내듯이… 그래서 선생님의 편지에는 수정한 흔적이 전혀 없다고 자랑까지 하셨다.
나는 지금 손만 뻗으면 무엇이든 자유롭게 적을 수 있다. 그럼에도, 어제 했던 생각들은 잊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고, 처음에 무슨 마음 가짐이었는지 마지막에는 기억하지 못한다. 정리되지 않은 생각은 잡념일 뿐이지만, 그것들 날아가 버리기 전에 붙잡아 두는 것에서부터 내공은 시작되는 것 아닐까 한다. 그런 의미에서 책을 읽고 한 줄이라도 남기자는 각오는 계속 정당성을 갖는다.

이번 강의의 주된 텍스트는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중 일부인 ‘한발 걸음’이었다. 간단한 줄거리를 먼저 말하자면, 아주 체력이 좋은 젊은이가 한 발로 뛰고, 늙고 병든 노인이 두 발로 뛰는 시합을 했을 때 다들 젊은이가 이길 것으로 예상했으나, 결과는 노인의 압도적인 승리였다는 것이다.
선생은 이 실화를 은유적으로 사용한다. 한 발은 실천, 경험, 현실을 의미하고 다른 한 발은 이론, 사색, 독서 등을 의미한다. 아무리 잘 나고 많이 배우고 깊은 생각을 하는 사람도 실천하지 않는다면 반쪽 짜리 절름발이라는 것이다. 실천할 수 없을 때는 다른 사람의 경험이라는 목발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 목발이 나의 생발을 변화시키고 발전시키며 이는 목발 없는 한쪽 발로서는 이룰 수 없는 경지인 것이다.
사람은 사회적 조건으로부터 완전 독립적일 수 없는 존재라고 선생은 말씀하신다. 말하자면, 인간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아이덴티티라는 것은 없다는 것이다. 사람과 사회(천지) 간에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변증법적으로 변화하는 것이고, 그것에 대해서 알아가는 과정이 공부라고 한다.

또 하나 기억에 남는 말씀은 싸움에서 이길 때 6:4로 이겨야지 8:2로 이기면 안 된다는 것이다. 싸움이 끝나고 회복할 수 있도록 여지를 남겨야 된다는 말씀이고, 인간 세상에 갈등은 불가피하나 그를 다 포용할 수 있는 아량이라고 해야하나, 그런 걸 가져야 된다는 뜻이겠다.

넥타이 맨 아저씨 주제에 학교 같이 신선한 곳에 간 것만으로 치유가 되는 느낌이었고, 온 보람을 느꼈다. 게다가 열정, 희망 등의 단어와 거리가 먼 삶을 반성하는 계기가 됐다. 그러나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굴레는, 내가 이렇게 살고 있는 있는 이유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라며 합리화하는 일상이다.

이상 좋은 말씀 잊지 않기 위해 두서 없이 적음.

좋은 경험으로 인도해 준 C양에게 감사의 마음을…

Athletes took fake classes at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obe | Reuters

Athletes took fake classes at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obe | Reuters.

미국에서는 이런 것이 뉴스가 되는구나.

우리는 운동 선수들은 원래 그런 거다라고 보고 자라 왔다. 대학 뿐만 아니라 중고등학교 때부터… 어쩌면 이런 것 하나하나가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사회의 씨앗일지도…

원칙에 어긋난 엄격한 법 집행???

‘기업인이라는 이유로 원칙에 어긋난 엄격한 법 집행을 하게 되면 경제살리기 측면에서 도움이 안 된다.’
도대체 이건 말이냐 똥이냐?
며칠 전 어떤 기사에서 장관이라는 사람이 한 말이다.

적어도 표면적으로 봤을 때, 진보냐 보수냐는 옳고 그름의 문제는 아니고 가치관의 문제다. 그래 좋아. 시장이 제일이고 시장을 방해하는 모든 것은 나쁘다라고 주장한다고 해도, 인정해 줄 수 있다.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물론 나는 동의하지 않지만.) 그래도 적어도 내적인 모순은 없어야 되는 것 아닌가? 경쟁은 좋은 것이다. 단, 기업인은 봐줘야 된다고 말하는 것이잖나. 부끄럽다. 원칙에 어긋난 엄격한 법 집행은 뭔 말이냐. 원칙적으로 법 집행은 널널해야 되는 건데, 원칙에 어긋나게 엄격하게 했다니. 내 기억으로는 그 장관의 보스가 자주 하는 말 중 하나가 ‘법대로’일텐데, 취임한지 얼마 되지도 않아서 항명을 하다니.

말 나온 김에, 언어가 많은 것을 지배한다. 단어 선택만으로 듣는 사람의 가치관을 조종하는 대표적인 예가 ‘기업인’이다. 또는 ‘경제인’이라는 말도 많이 쓴다. 그냥 재벌이잖아. 사치품을 명품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본다.

악령

악령 –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에 대해 끄적거리는 것은 서평을 쓰기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투박한 감수성을 갖고 있는 나 따위가 문학을 논한다는 것이 부끄러워, 서평 없이 패스하려고 했으나 그래도 무언가 흔적은 남기고 싶어 몇 자 적으려고 한다.
우선, 소설의 배경이 되는 1860년 언저리의 러시아는, 농노가 해방된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여전히 귀족들이 막대한 영지를 갖고 부와 권력과 누리는 사회였고 현대의 시각으로, 또는 서구의 시각으로 보면 매우 불평등한 사회였다.
그러한 반대 측면으로 러시아에서는 한편으로는 혁명적 사상, 아마도 사회주의적인 사상이 꿈틀 대기도 하였으며, 허무주의가 유행하기도 하였다. 소설에서 말하는 악령은 아마도 사람들 머리 속을 휘젓고 어찌 보면 부조리한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갖가지 저런 사상들을 의미하는 것인 듯하다. 실제로 5인조의 행동(스포일러이므로 무슨 행동인지는 말 안 하겠음.)은 당시 어떤 정치 조직에서 실제로 일어났던 일들로부터 모티브를 따 왔다고 한다. 사상, 이념, ~ism 들은 내가 지배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할 일이지 교조적으로 받아들인다면 그 또한 종교이고, 소설의 제목과 같은 ‘악령’일 뿐이다. 도선생께서 그런 의도로 작품을 썼는지는 모르겠으나…
소설의 문체는 굉장히 길고, 사람 이름도 길고, 등장 인물들의 말들도 많다. 스토리만으로 보면, 1, 2권에서는 다분히 인내심이 필요하고 몇번 왔던 길 되돌아가서 다시 읽어야만 했던 경우도 많았으나, 다 3권에서 이 모든 것을 보상해 주는 듯 하다. 도선생 특유의 허술한 플롯이라는 평들이 많이 있으나, 내가 눈치챌만큼의 허점을 보이지 않았고, 어차피 구란데 좀 앞뒤 안 맞으면 어떤가 싶기도 하다.
가장 인상 깊은 것은 등장 인물들의 개성이다. 이런 인물들을 만들어 내는 역량이 있었기에 도선생을 위대한 소설가로 부르는 것이다. 아버지 베르호벤스키의 허술한 허세가 귀엽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우습기도 하지만, 어쩌면 가장 현실적인 인물이 아닐까 생각도 해 본다. 내가 했던 찌질한 몇 가지 기억들, 잊혀지지 않는 에피소드들이 머리 속을 스쳐 지나간다. 스타브로긴은 객관적으로 하는 행동은 악마와도 같다. (원문에서는 삭제 되어 있었다던 마지막 장 찌혼의 암자에서는 꼭 읽어야 된다.) 그러나 악마가 아니라 악동이라는 느낌이 더 강하다. 아마도 전반적으로 희극적인 분위기의 소설이라서 그런 인상을 받았던 것 같은데, 그러한 프레임을 걷어 내고 나면 분명히 악마다. 또 ‘악의 진부함’인가. 그 외에도 뾰뚀르 스체파노비치, 끼릴로프, 바르바라 빼뜨로비나, 아아 그리고 가여운 리자 등 등장 인물 하나 하나를 만나는 것에서 기쁨을 느낄 수 있는 독서였다.
그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꼭 다시 읽어 보고 싶고, 도 선생의 다른 작품도 접해 보고 싶은 생각을 해본다.

읽을 책은 많고 인생은 너무 짧다.

Quiet – Susan Cain

Quiet: The power of introvert in a world that can't stop talking.

책의 내용은 간단하다. 내성적인 것은 외향적인 것과 다른 것일 뿐이며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사회에서는) 장애처럼 인식 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또는 서구처럼 외향성을 숭배하는 문화권에서는 의미 있는 주제일 수도 있을 것 같다.
한국에서는 다소 상황이 다르다. 내 경험으로는 학교 다닐 때까지 (적어도 고등학교 때까지) 조용할 것을 강요 받는다. 그러다가 문득 사회에 진출하게 되어 회사라는 곳에 들어 가게 되면 더 이상 조용하다는 것이 장점은 아니게 된다. 점점 서구화 되어 가고 있기는 하지만, 외향성이 지배하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 오히려 말이 많았다가는 ‘말만 번지르르하다.’라는 평을 받기 십상이다.

내 스스로 내성적이라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흥미 있을 법한 주제였으나, 결론적으로 지루했다.
더불어 내성/외향의 틀 속에 너무 많은 것을 우겨 넣으려고 시도하는 듯 하여 부자연스럽기도 했다.

실패!

불평등의 영향

TED

어느 정도 경제력을 갖춘 상태에서는 절대적인 부보다 상대적인 평등이 구성원의 웰빙에 지배적인 영향을 준다.
다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들력 있는 주장을 펼침.